본문 바로가기

중국인의 지혜(한중대조판)

2. 중국속담 15가지로 중국인의 인성을 간파하다

15마디의 속담으로 중국인의 인성을 간파하다

   十五句俗点破中人的人性特征

 

1. 총은 머리 내민 새를 먼저 쏜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 튀어나온 서까래가 먼저 썩는다)

    枪打出头鸟

qiāng dǎ chū tóu niǎo

 

♣ 중국사람들은 보편적으로 보신주의(保身主)가 체질화되어 있다.괜히 사람들 앞에 나섰다가 오히려 피해를 입거나 심지어 적의 표적이 될까 봐 자신의 존재를 숨긴다. 대표적인 중국 속담으로는 첫째. 明哲保身 즉 자신에게 손해가 될까 봐 원칙적인 문제에 대해 불분명한 태도를 취한다. 둘째. “出名,猪 즉 사람은 유명해지는 것을 두려워하고, 돼지는 살찌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실에서 나서거나 도와주다가 피해를 보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2. 모든 것이 다 하찮은 것이고, 오로지 공부만이 고상하다.

    万般皆下品,唯有读书

wàn bān jiē xià pǐnwéi yǒu dú shū gāo

♣ 중국사람들은 상대방을 평가할 때는 상대방의 학력을 보다는 그 사람의 뱃속에 얼마나 많은 지식이 있는가를 가지고 존경 여부를 결정하기도 한다. 상대방이 아무리 돈이 많은 부자나 권세가 높은 관리라고 하더라도 그의 뱃속에 그의 뱃속에 조금의 먹물(지식)이 없다면, 속으로 무시하는 학문 숭상주의가 있다. 중국인들은 예로부터 교육을 매우 중시해 왔다.특히 대만(臺灣)에서는 매년 공자 탄생일인 9 28일을 스승의 날로 정할 만큼 학문을 숭상하고 지식이 많은 사람을 존경해 왔다.

 

3. 좋은 행위는 좋은 보답이 있고, 나쁜 행위는 나쁜 업보가 있다.

()은 닦은 대로 가고 죄()는 지은대로 간다

  善有善恶报

shàn yǒu shàn bào è yǒu è bào

 

♣ 사람들의 인식 속에는 착한 일을 한 사람에게는 좋은 결과가 있고, 나쁜 일을 한 사람에게는

나쁜 결과가 따르게 마련이다. 업보가 없는 것이 아니라 때가 아직 이르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善有善恶报,不是不辰未到)

현실에서 이 속담이 꼭 들어맞지 않을지라도 살아가면서 선행을 많이 해서 적선()을 쌓아두면 혹시 좋은 보답은 당장 없을지라도 나쁜 업보는 멀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중국사람들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경향이 강한 편이다그래서 이 속담으로 살아가면서 나쁜 일은 되도록 하지 말라고 훈계하는 것이다.

 

4. 도량이 작으면 군자가 아니요, 독하지 않으면 대장부가 아니다

군자는 도량이 넓어야 하고대장부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

量小非君子,无毒不丈夫

liàng xiǎo fēi jūn zǐ wú dú bú zhàng fu

 

♣ 이 속담은 중국 남자들에게 남자라면 어떻게 처세해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말이다.

군자(대인)나 대장부는 중국 남자의 이상형이다. 자신은 비록 군자는 아니지만 입으로는 군자는, 대장부는 어떻게 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하면서 군자의 모습을 닮아가려고 한다. 실천은 잘하지 못하면서도 그들은 입으로는 늘 다음과 같은 말을 하기를 좋아한다.

 

1 군자는 마음이 넓고 편안하고, 소인은 하루 종일 근심과 불안에 떤다

   君子坦荡荡,小人长戚戚 

jūn  tǎn dàng dàng  xiǎo rén cháng  

 

2 군자는 말로 하지 손(무력)을 쓰지 않는다

   君子口不 

jūn  dòng kǒu  dòng shǒu

 

3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에 밝다

  君子,小人于利

jūn  yù yú yì   xiǎo rén yù yú 

 

4 군자는 다른 사람의 좋은 일이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君子成人之美

jūn  chéng rén zhī měi

 

7. 사내대장부는 여자와 다투지 않는다

     好男不

  hǎo nán bù gēn nǚ dòu

 

사나이는 여자와 싸우지 않으며, 좋은 개는 닭과 싸우지 않는다.

      好男不女斗,好狗不

hǎo nán  gēn  dòu  hǎo gǒu  gēn jī dòu

 

♣ 중국 남자들은 대인과 소인의 구별에 민감하고, 남자와 여자의 구분도 훌륭하다.

중국에서는 어느 나라보다 남녀평등이 잘 이루이진 나라이지만, 남자가 여자에게 해서는 안 되는 일도 잘 교육하고 있다. 힘이 센 남자가 힘이 약한 여자를 때리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 짐승이 하는 짓이라고 교육한다. 오히려 아내에게 매를 맞는 남편의 경우가 많다. 남편은 아내에게 맞으면서도 반격하지 않는다. 나약한 여자에게 감히 손을 대지 못한다. 자신들은 소인이 되기 싫다는 반증이다. 위의 속담은 일반적으로 남자가 기가 센 여자를 만났을 때 자신의 체면을 세우면서도 기가 센 여자와 직접 부딪치지 않고 물러서는 태도를 말하는 것이다.

 

6. 사람은 재물 때문에 죽고, 새는 먹이 때문에 죽는다.

    人为财死,鸟为食亡

 rén wèi cái sǐ   niǎo wèi shí wáng

 

♣ 이 속담은 중국인의 가치관을 잘 말해준다. 지독한 현실주의자들인 중국인들은 돈에 목숨을 걸고 살아간다. 특히 유물론의 교육을 받고 자라난 대륙 사람들은 재물을 목숨처럼 여긴다(视财如命). 그들은 돈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늘 이렇게 말한다: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不是万能的,但是万万不能的) 얼핏 보면 일리가 있는 말 같지만, 개인적인 유학 경험에서 체험했던 기적은 결코 이 말로는 설명할 수 없다. 이 말은 결코 절대적인 진리가 되지 못한다. 이 말은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한 말인데, 중국 친구에게도, 중국 드라마에서도 정말 자주 들었던 말이다. 역시 중국사람들은 아직도 유물주의 사관에 젖어 있다. 하지만 중국의 조상들은 후손들에게 돈에 목숨을 걸 때의 위험성을 이 속담을 통해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다.

 

7. 사람이 저 자신을 위하지 않으면 하늘과 땅이 용납하지 않다.

    人不为已,天诛地灭

    rén  wèi jǐ  tiān zhū  miè

 

이 속담은 예로부터 착취 계급에 있던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위하지 않으면, 천벌을 받는다고 여겼다.

 

♣ 이 말을 중국 드라마를 통해서 처음 알았을 때 무척 당황스러웠다. 어떻게 자신을 위하지 않으면 하늘과 땅이 멸망시킨다는 말을 할 수 있는가? 이것은 우리가 어려서부터 교육받아왔던 자신만 위하면 안 되고 남도 배려해야 한다는 인성교육과 정반대가 아닌가? 이 속담을 통해서 중국인의 세계관이 굉장히 왜곡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말을 누가 했는지 출처는 없다 이 말은 주로 이기주의자가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할 때 쓰는 말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중국인들이 자주 이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이기적인 행동을 합리화한다는 사실이다. 사람의 이기심을 더욱 강화시키는 황당한 속담이다.

 

알고 보니, 중국사람들이 이 속담을 잘못 해석하고 사용하고 있었다. 원래의 뜻은 만약 사람이 자신을 수양하지 않으면 곧 하늘과 땅이 용납하지 않는다 人不已,天 : (wéi)는 여기서 (수양하다/ 수련하다)의 의미이다.

그런데 현재의 중국사람들은 만약 자신을 위하지 않는다면 곧 하늘과 땅이 자신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심하게 왜곡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중국인들의 자기 합리화의 극치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8. 복()이라면 화()는 아니고, 화()라면 피하려 해도 피하지 못한다.

   是福不是祸,是祸躲不过

shì fú  shì huò  shì huò duǒ  guò

 

화복은 하늘이 정해준 것이라 누구도 바꿀 수 없다. 복이든 화든 피할 수 없다는 말이다. 복이든 재앙이든 피할 수 없으니 너무 긴장하지 말고, 순리에 따르라는 말이다.

 

♣ 이 속담은 중국사람들이 화()에 직면했을 때 어쩔 수 없다고 받아들이며 참고 견디는 심리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중국사람들은 열악한 환경이나 무례한 대우를 참고 잘 견디는 성숙한 심리상태를 가지고 있다. 중국인들은 나쁜 일이 닥치면 이렇게 말한다. “일어날 일은 일어나게 되어 있어. 피하려야 피할 수 없어, 순리에 맡기고, 편하게 모든 걸 직면하면 돼”(该发生的事情总会发生,不掉 其自然 坦然面一切.이런 자세로 자신의 불행을 마주한다. 그러다가 화()로 인해 또 다른 좋은 일이 생겼을 때(得福), 재앙을 당했기 때문에 오히려 이익을 얻었다면서 자신의 불행을 극복해 나간다. 중국인들의 화복을 대하는 자세는 조급증이 심한 한국인들이 배워야 할 대목이다

 

9. 토끼는 둥지 주변의 풀을 먹지 않는다: 

    兔子不吃窝边草

   tù zi  chī wō biān cǎo

 

♣ 중국인들은 자기 주변 사람(이웃/친구)의 이익을 침범하거나 다치게 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이 사는 지역 근처에서 나쁜 짓을 하지 않는데 이런 속담을 때문인 것 같다.

 

 때로는 위의 속담과 정반대 되는 행동을 하는 중국 상인들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중국어로 (사수)라는 말이 있다. 즉 단골손님이나 친구, 친지 등에게 바가지를 씌우며 뒤통수를 치는 가게 주인들도 있는데 이는 낯선 사람보다 잘 아는 사람을 속이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는 악덕 상인들도 있다. 내가 베이징에서 유학할 때 자주 이용하는 쌀집아저씨가 가르쳐준 말이다

 

10. 친구의 아내를 괴롭혀선 안 되고, 

친구의 어머니를 욕되게 해서는 안 된다. 

      朋友妻不可欺,朋友母不可辱

    péng you    qī  péng you mǔ   rǔ

 

♣ 이 속담은 중국인들이 사람의 도리를 지키며 사는 행동준칙이 되었다.

역시 중국인들과의 대화에서 자주 들었던 말이다

 

11. 돈을 써서 재앙을 면하다 

      破财免灾

     pò cái miǎn zāi

 

재물을 잃음으로 해서 재난을 막을 수 있다손해를 보고 재해(재앙ㆍ재난ㆍ화)를 피하다. “액땜으로 치다”, “액땜한 샘 치다”는 의미이다.

 이 말은 주로 금전상 손실을 많이 입은 사람에게 하는 말로써 상대방을 위로하고상대방으로 하여금 마음을 넓게 가지라고 조언하는 말이다.

 

12. 사람을 죽이면 목숨으로 보상하고 빚을 지면 돈으로 갚아야 한다.

     命,欠债还钱 

shā rén cháng mìng  qiàn zhài huán qián

 

살인을 했으면 그에 상응하는 벌을 받아야 하고, 돈을 빚졌으면 갚아야 한다. 죗값을 치려야 한다는 뜻이다.

♣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규칙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한 것이다사람을 죽이면 목숨으로 대가를 치러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이치인데한국은 피해자의 억울함보다 가해자의 인권을 지나치게 보호하면서 사형제도가 없어졌다. 중국인의 눈에는 사형제의 폐지는 지극히 불합리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13. 잘못을 범한 사람이 많으면 종종 처벌받지 않는다 

      法不责众

    fǎ  zé zhòng

 

()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할 수 없다. 한 가지 행위가 보편성이 있을 경우 불법적 요인이 존재하더라도 처벌이 힘든 상황을 말한다.

♣ 중국 현대사에서 거대한 민중운동이 두 차례 일어났다.

첫째는 1919 5.4 운동이고, 둘째는 1989 6.4 천안문 민주화운동이었다. 한국에서는 1919 3.1 운동부터 2016년 촛불 혁명까지 수없이 거리시위가 일어났지만 시위 주동자 몇 명만 처벌했을 뿐이다.  

 

14.  사는 게 아무리 힘들어도 죽는 것보다 낫다 

       好死不如赖活着

       hǎo sǐ  rú lài huó zhe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

 

♣ 이 속담을 처음 접했을 때, 중국인의 생존본능이 매우 강하다고 느꼈다. 종교생활을 거의 하지 않는 중국인 마음속에 공통된 신앙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생존”이라는 신앙이다. 중국인들의 모든 행동거지와 가치관의 뿌리는 “생존”(살아남는 것)에서 기인하고 있다. 내가 체험한 중국인의 두드러진 장점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기 자신을 쉬지 않고 강하게 만드는 것 즉 자강불식(自强不息)이고, 또 다른 하나는 어떤 고통과 어려움도 잘 참고 견디어 내는 정신(吃苦耐)이다. 중국인의 생존 DNA는 어느 민족보다 강하다. 내세를 믿지 않고 살아가는 그들에게는 현세가 너무나 소중하고 오늘이 아무리 힘들어도, 아무리 거지 같은 생활을 할지라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오늘을 버티며 살아간다. 그들은 놀라운 적응력을 발휘하면서 오늘도 꽃밭은 물론 개똥밭에서도 잘 살아간다. 그러므로 세계에서 중국인이 사는 곳이라면 어디든 경제적으로 다 부유하게 산다. 예를 들면; 싱가포르, 홍콩. 마카오. 대만, 중국이 그렇다.

 

 

15. 가난은 비웃어도, 매춘은 비웃지 않는다 : 

     不笑娼

  xiào pín  xiào chāng

 

가난하게 살면 사람들의 비웃음을 받지만, 먹고살기 위해 매춘을 해서라도 열심히 돈을 벌면 설사 사회적 신분이 낮을지라도 오히려 사람들의 멸시와 비웃음을 받지 않는다. 중국인들은 단지 돈을 얼마나 벌었는가 하는 결과만 중시하지, 돈을 어떻게 벌었느냐 하는 과정은 별로 개의치 않는다. 역시 지독한 현실주의자들이다 

 

♣ 중국 드라마를 보다가 여중생으로 보이는 어린 여자아이가 이런 대사를 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어떻게 가난한 사람은 비웃고 몸을 파는 창녀는 비웃지 않는다는 말인가가난은 자신이 무능력한 것도 있겠지만 사회상 구조적으로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단지 가난하다는 이유로 무시하고, 직업 중에서 가장 천한 창녀를 인정한다는 말인가? 한국 정서로는 가난한 사람은 국가에서 많이 도와주어야 하는 대상이고, 창녀는 돈은 많이 벌지만 자신의 몸을 팔아서 버는 천한 직업이라는 인식이 강한데, 그들을 가난한 사람들보다 더 인정해 준다는 것이.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대목이다.

 

중국사람들은 가난한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우리와 많이 다르다. 중국말에 “급한 일은 도와줘도 가난은 도와주지 않는다”(救急不救)라는 표현이 있다. 이 말의 원래의 취지는 아는 사람 사이에서 일시적인 상대의 어려움은 도와줘도, 장기간 가난한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을 도와줘도 상대방이 자신에게 손을 내밀기만 하지 가난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남을 도와주기를 좋아하는 한국사람이 봤을 때는 너무 편협한 생각이고, 지극히 공리주의적인 사고방식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중국사람들은 상대방이 돈을 어떻게 벌었는가에 관심이 없고, 돈을 얼마나 벌었는가만 관심을 가진다. 즉 돈을 버는 과정보다 돈을 번 결과에만 현실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 같다. 모든 상황을 돈만 기준으로 생각하는 지독한 현실주의자들의 모습들이다. 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중국사람들은 사람을 두 가지 기준으로 평가한다. 하나는 상대방이 부자인가, 가난한 사람 인가와 또 다른 기준은 상대방이 군자형(君子型)인가 아니면 소인형(小人型)인가를 따진다. 상대방이 아무리 재산이 많아도 인품이 낮은 소인이라면 별로 사람 취급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중국인들은 사람들 앞에서 이런 말을 하기를 좋아한다. “군자도 재물을 좋아하지만 그것을 취할 때는 정도(正道)를 취한다”(君子爱财,取之有道). 역사적으로 보면 중국 사회에는 두 가지 정신문화가 유유히 흘러왔다. 즉 귀족 정신과 깡패 정신이 그것이다. 사람들은 행동은 건달 정신에 물들어 거칠게 하지만, 정신적으로 늘 귀족 정신을 부러워하며 살아왔다. 그래서 중국사람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은 군자 스타일이다. 이들은 모두 어떤 행위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더 중시하고 있다는 점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중국 사회에도 분명 귀족문화가 있고, 건달 문화가 존재한다. 우리가 본받을 것은 그들의 귀족문화이다.

 

이상 중국 속담 15가지로 중국인의 인성 코드를 알아보았다. 이제 그들의 정신세계에 내재되어 있는 15가지 문화심리코드를 충분히 숙지하고 중국인들을 만나서 얘기하면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결국에는 우리가 그들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면서 그들을 우리의 적이 아닌 우리의 친구로 만드는데 훨씬 유리한 입장이 될 것이다.

 

끝으로 중국인들의 속담을 빌어 말하자면 “중국 친구가 한 명 더 많아지면 우리가 선택할 인생의 길이 하나 더 많아지게 된다”(多一朋友,多一)는 인생의 지혜를 터득하기 바란다.